박경수 PSK회장은 반도체장비 기업들이 더 많이 성장할 수 있도록 20억원의 인재 기금을 기부하겠다고 발표했다 . [1-3]
PSK는 1997년 처음으로 국내에서 반도체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한 사례로 언급되며, 이 성공은 산업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. [1-5]
이 인터뷰는 기술로 경쟁하는 반도체장비 기업의 필요성과 함께, 박 회장의 기여를 부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. [1-2]1. 일본 기술 극복과 PSK의 국산화 성공
박경수 PSK 회장은 일본 기술을 어깨너머로 배웠지만, PSK가 세계 1위로 성장했다고 강조한다. [1-1]
반도체 장비 기업의 발전을 위해 인재 기금으로 20억원을 기부할 계획을 밝혔다. [1-3]
1997년 PSK가 반도체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한 첫 사례로 꼽힌다. [1-5]2. 🇰🇷 일본 반도체 장비 국산화의 도전과 결정
박경수 PSK회장은 일본기업들과의 협력 과정에서 기술 전수를 받지 못하고, 이에 따른 억울함을 느껴 독자 기술 개발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회상하였다 . [2-5]
1990년에 설립된 합작회사 PSK는 반도체장비 국산화를 목표로 일본회사들과 함께 시작하였으나, 기술 지원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. [2-1]
PSK는 설립 7년 후인 1997년에 드디어 핵심 장비인 ‘드라이 스트립’의 국산화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. [2-7]
이러한 국산화노력은 한국 반도체산업의 독립성을 강화하고, 일본의존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. [2-3]1. PSK의 국산화 노력과 성공
1990년에 일본 반도체 장비를 한국에 판매하던 회사가 일본 기업들과 합작으로 PSK를 설립했다 . [2-1]
PSK의 한국인 대표는 국산화를 위해 일본 회사들에 기술 지원을 요청했지만, 거절당하고 장비 접근조차 허락받지 못했다 . [2-3]
박경수 PSK 회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독자적인 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결심하고 국산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. [2-5]
1997년, PSK는 드라이 스트립(감광액 제거기)이라는 반도체 핵심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하며 주목받았다 . [2-7]3. 🚀 PSK의 반도체 장비 국산화 성과
PSK는 2010년 세계 반도체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하였고, 현재까지도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. [3-2]
박경수 PSK회장은 ‘제17회 반도체의 날’ 기념식에서 금탑산업훈장을 수상하였으며, 이는 반도체장비 기업 대표로서 최초의 영예이다 . [3-4]
그는 인터뷰에서 국내 최초로 반도체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한 것을 강조하며, 이는 장비 분야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. [3-6]
또한,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의 대기업 CEO들이 독식하던 분야에서 PSK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. [3-6]4. 💡 박경수 회장의 기부와 인재 양성 비전
박경수회장은 K 반도체장비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20억원의 인재 기금을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. [4-2]
그는 일본 반도체장비기업의 기술 이전 거부로 어려웠던 국산화과정을 극복하고, PSK를 설립했다 . [4-11]
박 회장은 IMF 외환위기에도 고객 서비스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, 차세대 장비 개발에 투자하여 1999년 300㎜ 웨이퍼용 드라이 스트립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 . [4-25]
현재 PSK는 세계 1위의 장비 제조업체로 인정받으며, 좋은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. [4-40]
그는 PSK같은 회사를 지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인재 확보 기금과 장학기금을 마련할 계획임을 밝혔다 . [4-51]5. ⚠️ 한국 기업들의 미국 정치 변화에 대한 우려
한국 기업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에 대해 복잡한 셈법을 하고 있으며, 이는 반도체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. [5-3]
트럼프는 반도체 거래가 나쁘다고 비판하였고,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불안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. [5-4]
또한, 전기차의 세금 혜택이 감소할 경우 이차전지 산업에도 타격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. [5-6]
자동차와 철강 산업은 고율 관세부과에 대해 예의주시하며, 이는 한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. [5-7]6. 🗳️ 트럼프 당선 가능성과 한국 기업의 불안감
도널드 트럼프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한국 기업들은 불확실성과 판단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. [6-1]
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, 보조금 축소와 관세인상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으며, 이는 반도체, 이차전지, 자동차, 철강 등 한국의 주력 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. [6-6]
트럼프전 대통령은 반도체법을 비판하며 기업들에게 높은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고, 이는 한국 반도체기업들에게도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. [6-12]
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64억 달러와 4억 5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을 예정인데, 트럼프의 당선이 이러한 지원의 변경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. [6-20]
기업들은 향후 대선 결과에 대한 의사결정을 보류하고 있으며, 불확실성 속에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. [6-31]7. 📉 반도체 전쟁의 흐름과 도전 과제
TSMC창업자 모리스 창은 " 반도체자유무역이 죽었다"며 현재 TSMC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. [7-3]
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반도체산업의 글로벌 분업 체계를 무너뜨리고 있으며, 동맹국의 반도체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. [7-22]
TSMC의 중국 시장 매출 비율은 과거 20%에서 10%로 급락했으며,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도 대중 제재로 인해 판매가 금지되었다 . [7-37]
중국의 메모리 제조사 CXMT는 D램 생산량을 빠르게 늘려 대규모 공급망에서 한국 기업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. [7-42]
한국 반도체기업들이 시장에서 안정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AI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. [7-241]7.1. 🛠️ TSMC의 도전과 반도체 자유무역의 종말
TSMC의 창업자 모리스 창은 " 반도체자유무역은 죽었다"며 현재의 시장 환경을 경고했다 . [7-3]
TSMC는 글로벌 반도체위탁 생산 시장의 약 60%를 차지하며, 인공지능( AI) 가속기의 99%를 위탁 생산하는 기업이다 . [7-8]
그는 TSMC가 올해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지만, 여전히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언급했다 . [7-7]
모리스 창은 반도체, 특히 첨단 반도체 부문에서의 자유무역의 후퇴를 강조하며, 그에 따른 TSMC의 성장 도전 과제를 설명했다 . [7-13]7.2. 🤖 TSMC와 미중 갈등의 영향
TSMC는 엔비디아와 함께 미·중 반도체패권 전쟁의 급변하는 시장에서 최대 승자로 자리 잡고 있다 . [7-15]
그러나, 모리스 창 TSMC창업자는 미·중 대립으로 인해 글로벌 반도체분업 체계가 무너지고 있어, 이는 반도체기업의 성장에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였다 . [7-17]
또한, 이 상황은 동맹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. [7-20]7.3. 🔍 미중 갈등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변화
2020년 이전 세계 반도체산업은 미국의 설계, 한국과 대만의 생산, 중국의 소비로 이어지는 분업 체계가 작동했으나, 현재 미국의 대중 제재로 인해 이 체계가 크게 변화했다 . [7-23]
TSMC의 중국 시장 매출 비율은 2019년 20%에서 현재 10%로 급감했으며,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D램 제품들은 대중 제재로 인해 화웨이 등 중국 업체에 판매가 금지되어 있다 . [7-36]
중국 메모리 제조사 CXMT는 D램 생산량을 대폭 늘려 전체 시장의 15%를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, 이로 인해 한국 반도체기업들이 안정적 고객과 성장 기회를 잃을 위험에 처해 있다 . [7-43]
미국의 반도체정책은 일본과 네덜란드 등 다양한 동맹국의 반도체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, 일본의 라피더스는 중국 판매가 불가능할 경우 첨단 반도체시장 진입이 어렵다고 보고하고 있다 . [7-54]
미중 갈등으로 인해 인텔은 중국에 대한 PC용 CPU 수출 자격을 상실하였고, 이는 반도체산업에서 중국을 대체할 만한 시장이 없다는 딜레마를 초래하고 있다 . [7-66]7.4. 🚀 중국의 반도체 자립과 일본의 파운드리 투자
중국은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첨단 반도체 자립을 시도하며, 화웨이는 자국 파운드를 통해 7나노급 칩을 생산하고 있다 . [7-83]
올해 화웨이가 출시한 '퓨라 70' 시리즈는 부품의 90% 이상이 중국산으로, 이는 자국의 기술력을 드러낸다 . [7-91]
중국은 AI가속기를 자체 설계·제작하고 있으며, 이는 AI 학습과 추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. [7-93]
일본의 반도체산업 육성 정책이 5조 엔의 투자 유치를 이끌어내며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. [7-107]
TSMC가 일본큐슈에 반도체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며, 이는 대규모 투자와 함께 일본 반도체산업의 부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. [7-114]7.5. 📉 중국 반도체 자립화의 도전 과제
중국의 경기 둔화와 레거시 반도체자립 정책은 한국 반도체기업에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. 이는 중국이 레거시 반도체생산을 늘리며 한국 시장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결과로 분석된다 . [7-189]
최근 중국의 D램 생산 비중이 3년 만에 4%에서 16%로 증가하며 가격 하락을 부추기고 있어 한국 업체들에게 타격이 가해지고 있다 . [7-210]
2024년 1∼9월 동안 한국의 D램 수출이 519억 달러로 증가했으나 대중국 수출 증가세 둔화가 전체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. [7-218]
중국의 레거시 자립 확대와 미국의 대중 반도체규제는 반도체산업에서 한국 기업에게 주요한 위협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. [7-229]
전 세계 반도체공장 중 절반이 중국에서 건설 중이며, 이는 향후 한국 반도체산업에 급속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문가의 경고가 있다 . [7-246]7.6. 📈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전략과 동향
한국 반도체산업은 AI와 같은 고부가 가치 영역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. [7-250]
최근 10년간 대만으로의 메모리 반도체수출 비중이 10%를 넘지 않았던 반면, 올해 9월에는 16%로 급증하며 85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. [7-256]
SK하이닉스의 HBM매출은 330% 이상 증가했으며, HBM의 한국 내 독점적 지위는 금방 무너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. [7-262]
SK하이닉스는 넥스틴의 3D 검사 장비를 도입하며 HBM의 생산성을 높여 나가고 있으며, 이는 국내 소재·부품·장비 생태계의 성장에도 기여하고 있다 . [7-280]
전반적으로 SK하이닉스의 HBM시장 리더십이 강화됨에 따라 협력사들도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, 혁신적인 장비와 기술이 공급망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. [7-3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