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⚠️ 트럼프의 반도체 지원 철회 가능성
-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지원법(CHIPS Act)의 보조금 지급을 철회할 가능성을 시사하며, 외국 반도체 기업에 최대 100%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.
- 이러한 발언은 대만 TSMC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에 차질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, 보조금 철회가 현실화될 경우 TSMC의 공장 운영이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.
-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또한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나, 보조금 철회와 높은 관세로 인해 투자계획에 차질을 입을 수 있다.
2. 🏭 TSMC의 미국 내 반도체 투자 및 대응 전략
- TSMC는 애리조나 반도체 시설에 25조원 규모의 투자를 승인하였으며, 이는 반도체 칩 생산 능력 확장을 위해 필요하다.
- 첫 번째 애리조나 공장은 올해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하고, 두 번째 공장은 2027년 하반기부터 3nm 칩을 양산할 계획이다.
- TSMC는 트럼프 정부의 반도체 관세 위협에 대응하여 애리조나 공장의 가동 일정을 앞당기거나 추가 투자를 고려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.
- TSMC는 R&D 센터의 미국 이전을 고려하지 않으며, 이는 높은 생산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.
- TSMC는 애리조나 공장에 첨단 패키징을 구축하여 고객들에게 관세 부과 유예를 설득할 계획이다.
3. 🚗📉 자동차 및 반도체 관세 부과의 충격
- TSMC는 바이든 정부로부터 약속받은 보조금 계약을 트럼프 정부와 협상 중이며, 보조금 규모는 66억 달러이다.
-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할 관세에 의해 자동차(34만명)와 반도체(15만명)의 총 종사자 수가 49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, 이는 철강의 약 5배에 해당한다.
- 자동차와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전체 수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며, 미국 시장에서 자동차가 전체 수출의 절반인 347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.
- AI의 확산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, 데이터센터 건설과 AI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D램 모듈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.
- 이러한 관세 조치가 자동차 및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치명적일 수 있으며,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및 자동차 산업 재건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.
4. 📉 중국 반도체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위기
- 한 업계 관계자는 철강 이외에도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에 대한 견제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.
-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CXMT가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.
- CXMT의 D램 시장 점유율이 2020년 제로에서 2022년에 5%로 증가했으며, 올해 말에는 12%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.
- 저가 D램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D램 평균 거래 가격이 30% 이상 폭락했으며, 이는 한국 반도체 기업의 수익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.
- CXMT는 최근 DDR5 생산에 성공했으며, HBM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한국 반도체 산업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.
5. 📊 메타의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및 전망
- 메타는 한국의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논의를 진행 중이며, 이는 다가오는 AI 칩 생산 수요 증가를 감안한 전략으로 보인다.
- 퓨리오사AI의 레니게이드(RNGD)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와 비교해 와트당 성능이 60% 뛰어난 제품으로, 메타의 고급 AI 모델에 적합하다고 평가되었다.
- 메타는 올해 AI와 데이터 센터 구축에 최대 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, 이는 퓨리오사AI 인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.
- 퓨리오사AI는 약 1억 15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고, 최근 20억 원의 투자 유치를 통해 8000억 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.
- 이번 인수가 성사되면 메타는 AI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으며, 퓨리오사AI는 엔비디아의 AI 칩 대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.
6. 🛰️ 엔비디아와 삼성의 HBM 경쟁 현황
- 엔비디아는 삼성전자 천안 공장에서 고대역폭메모리(HBM) 반도체의 퀄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며, 이는 HBM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전망이다.
- 삼성전자는 HBM4 양산을 목표로 하며, 빠른 퀄 테스트 통과를 위해 HBM3E의 품질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해진다.
- HBM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8%로, SK하이닉스에 뒤처지고 있으며, 퀄 테스트 지연으로 격차는 더욱 벌어질 우려가 있다.
- 삼성전자는 10나노 1c D램에서의 성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, 수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태다.
- 반도체 업계는 삼성전자의 HBM 품질 확보가 성공 여부에 따라 HBM 시장의 경쟁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.
7. 🖥️ 삼성전자, AI 기능 강화한 신형 OLED TV 출시
- 삼성전자가 인공지능(AI) 기능을 탑재한 55형 유기발광다이오드(OLED) TV 신모델을 출시한다고 발표하였다.
- 신모델은 'AI 스마트 홈'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과 집안 환경을 분석해 행동을 제안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.
- 홈 모니터링 기능이 추가되어 TV의 센서와 카메라로 집안 보안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알람을 제공한다.
- '클릭 투 서치'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어 사용자가 원할 때 프로그램 추천 및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.
- 2025년형 OLED TV의 출고가는 219만원이며, AI 구독 클럽 요금제를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다.